BACK TO LIST
PREV NEXT
경상북도 농업기술원 건립 국제설계공모

SEE DETAILS

현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주변 지역의 도시화로 인해 농업 환경 구현에 어려움이 있으나,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이 새로이 입지하게 될 대지는 낙동강 유역에 오랜 시간 농경지로써 자리하고 있다. 물, 바람, 일사, 지형 등 농업 환경을 구성하는 각각의 레이어가 조화롭게 축적된 장소로서, 농업기술원이 자리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우며, 자연스러운 형태로 드러남이 마땅하다. 우리는 지면에 그려진 농업환경을 지표면을 기준으로 세 부분으로 나누어 분류하고 각 요소를 계획의 기본 원리로 적용하였다. 땅의 레벨은 지면에 부착된 지형, 녹지체계, 농로, 농작물로 작업, 운반, 공급 등의 동선을 이루는 역할을 하며, 땅 위 레벨의 일조, 바람은 매스와 건축 환경을 구성하는 원리로 작동한다. 유일하게 땅 밑의 레벨에 위치한 물길은 땅의 레벨 중 농로와 일치성을 가져 우리의 농경 그리드를 완성하는 마지막 단서가 되었다. 물길은 모세혈관처럼 퍼져 지면 곳곳으로 물을 공급하여 생명력을 관장한다. 지면에 잠겨있던 물길을 지상으로 드러내는 재구조화 과정을 통해 농업과 대지를 더욱 긴밀하게 결구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이로써 일곱 가지 레이어가 모두 땅에 정렬되어 새로운 농경 그리드를 완성한다. 재구조화된 물길을 따라 대상지 전체를 순환하는 상생의 고리는 두 가지 벨트와 중앙 정원으로 이루어진다. 두 벨트는 농경지를 관리하고, 각 시설을 오가는 동선 역할과 농업에서 경험할 수 있는 색다른 체험이 있는 투어 역할을 겸한다. 두 벨트가 중첩되는 대상지 중앙에는 온실로 구성된 연구시설들을 집약해 하나의 중앙 정원으로 구성하였다. 농업 연구 활동 자체를
컨텐츠화한 상생의 고리는 경북 농업발전을 위한 연구거점이자 경북 농산업의 정체성이 담긴 관광자원이 된다. 단지내 도로를 활용한 순환도로 시스템을 적용하여 차량동선과 분리된 안전한 보행환경을 구현하였다. 정문관리소에서부터 시작한 진입동선을 따라 순회하는 차량동선은 각 시설로 접근 가능하여 관리 및 비상동선으로 쓰인다. 주 진입로에서 시작되는 보행동선은 웰컴데크와 커뮤니티 코리더 레벨을 오가며 다양한 경관을 형성하고, 분산된 매스들이 만드는 사이공간을 체험하게 한다. 이는 중앙공원과 상생의 고리까지 이어져 대지 전체를 온전히 향유하는 선순환 동선 구조를 만든다. 진입 축을 따라 형성된 커뮤니티 코리더는 자연의 흐름에 따라 분산된 시설들을 이어주는 매개공간이다. 각 시설들은 고유의 소통공간을 갖는다. 시설 내 공간부터 시설 간 협력 공간, 나아가 지역에 개방된 열린 공간까지 단계별로 확장되는 소통
방식은 커뮤니티 코리더에서 합쳐진다. 대지 전체를 바라보는 넓은 데크 하부를 활용한 반외부적인 성격의 이 공간은 특색있는 외부공간을 파생시킨다. 웰컴데크와 연계한 수직정원, 오픈랩 역할을 겸하는 야외홍보관, 관람과 휴게 공간인 사이정원과 중앙 광장, 자연 그대로가 담긴 수생태원과 식물원 등의 외부공간이 개방시설과 연계되어 경상북도 농업기술원만의 정체성을 담은 독창적인 지식과 문화교류의 중심이 된다.
물의 재구조화를 통해 완성한 농경 그리드 위에 놓인 경상북도 농업기술원은 자연의 간격을 따른다. 바람의 기류의 폭과 일사에 따른 음영지를 고려하여 차례로 놓인 시설 배치를 통해 인동간격을 설정하였다. 자연의 폭에 따라 불규칙한 배열로 놓인 배치는 보행공간의 볼륨을 리드미컬하게 조절하여 활력 있는 공간을 만들어낸다. 변화하는 공간의 흐름에 합류한 각 시설은 계획대지 동서의 레벨을 잇는 땅이 되고, 바람과 시선의 길을 열어주는 통경축을 형성한다. 자연의 흐름을 땅으로 연결하는 테라스형 매스 계획은 상징적인 파사드를 형성한다. 굴곡진 산세를 담아내는 경사형 지붕은 높은 층고의 대규모 공간 확보에 유리하게 작동했으며, 자연을 재료로 활용한 벽면 녹화시스템의 적용과 경북 전통건축의 특성을 반영한 목재의 사용은 지속 가능한 친환경 건축 환경을 구현한다. 오랜 시간 농업의 중심지였으며 생명의 탄생지인 이 땅에서 경상북도 농업 기술원이 자연과 함께 새롭게 태어나 농업의 발전 위해서 다시 한번 싹트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다. 주변의 수많은 자원을 기반으로 농업기술원의 무한한 잠재력이 더해진 이곳은 농업의 미래를 창조하는 거점으로 탄생하게 될 것이다.


International Competition for the (New) Agricultural Research & Extension Services in Gyeongsangbuk-do

Location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국면 삼덕리 864번지 일원
Client         ‌경상북도
Site Area    ‌968,811.00㎡
Floor area  ‌33,736.66㎡